건강정보와 소소한꿀팁/일상꿀팁

과자는 어떻게 버려야할까? 음식물쓰레기로 버리면될까?

직장인김서방 2025. 4. 1. 00:20
반응형

과자 버릴 때 어떻게 버려야 할까?

음식물쓰레기? 생활쓰레기? 헷갈리는 분들을 위한 깔끔 정리!

생활 속에서 자주 마주하는 과자, 그리고 남은 음식들.
“이건 음식물쓰레기일까? 일반쓰레기일까?” 헷갈리셨다면, 이 글을 꼭 참고해 주세요!

 

과자는 음식물쓰레기일까?

정답: 아니요! 과자는 음식물쓰레기가 아닙니다.

남은 과자나 조리되지 않은 빵류는 물기가 없고 소스가 묻어있지 않다면 일반 생활쓰레기로 분류됩니다.
즉, 종량제 봉투에 담아서 배출하면 됩니다.

예: 남은 비스킷, 조리되지 않은 식빵, 눅눅해진 과자
→ 생활쓰레기 종량제 봉투에 버리세요.

⚠️ 단, 과자 봉지는 플라스틱 재질이면 분리배출, 종이 재질이면 일반쓰레기입니다.

 

음식물쓰레기 배출 전, 꼭 알아야 할 기본 원칙

✅ 음식물쓰레기란?
사람이 먹고 남긴 물기 있는 음식물을 의미하며,
다시 활용(사료나 퇴비 등)할 수 있는 유기물만 해당됩니다.

❌ 음식물쓰레기가 아닌 일반쓰레기 (종량제 봉투에 버려야 함)
분류 예시
채소류 : 대파·쪽파·미나리 뿌리, 고추씨·고춧대, 양파·마늘 껍질, 옥수수껍질·옥수숫대
과일류 : 호두·밤·땅콩·코코넛껍질, 복숭아·살구·감 씨
곡류 : 왕겨
육류 : 닭·소·돼지 털, 딱딱한 뼈
어패류 : 조개·소라·전복·굴 껍데기, 게·가재 껍질
기타 달걀 껍데기, 차 찌꺼기, 한약 찌꺼기, 복어 내장 등

 

🧽 음식물쓰레기 배출 시 주의사항

 

ㆍ물기를 꼭 짜서 수분 제거

ㆍ 이물질(비닐, 병뚜껑, 플라스틱, 이쑤시개 등) 제거
ㆍ 이물질이 섞이면 수거가 거부될 수 있어요!

 

🏡 음식물쓰레기 배출 방법 (주거 형태별 안내)

📌 공동주택(아파트 등)
배출방법: 단지 내 설치된 전용 수거용기에 배출

처리비용
납부필증 사용 시: 120L 1매당 4,840원
RFID 방식: 무게당 1kg에 60원

🏠 일반주택 및 소규모 음식점

 

배출방법: 음식물 전용 노란색 봉투 사용
배출장소: 각 가정 대문 앞
배출시간: 저녁 8시 ~ 자정(24시) (※ 주말 및 공휴일 제외)
처리비용: 종량제 봉투 구매비용으로 납부

 

📌 마무리 TIP!
분리배출은 작은 습관이지만,
환경보호와 자원 재활용에 큰 기여를 합니다.
오늘부터는 과자 하나 버릴 때도 정확하게!
환경을 생각하는 실천, 우리 함께 해요 😊

반응형